728x90
[챌린지] 3주 차 회고회고설계 / 구현구현에서 동료분들은 함수 하나하나, 구조 하나하나를 다 깊이 알고, 동작 원리도 다 이해하고, 비슷한 함수와의 차이도 명확히 구분하며 자신들이 사용하는 함수나 구조에 근거가 있었다. 하지만 나는 그냥 인터넷 서칭하여 하나만 알고 있었기 때문에, 동료분들과 지식의 깊이도 달라서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나도 하나의 검색 결과만 찾아서 사용하지 않고, 비슷한 종류도 같이 검색을 하고 차이점도 따로 정리를 하며 학습의 깊이를 깊게 가져가야 한다고 깨달았다. 그리고 설계는 다들 바로 다이어그램을 그릴 정도로 능숙하셨다. 나는 다이어그램을 그린 적이 많이 없어서 항상 피하기만 해서 더 다이어그램 그리는 능력이 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고..
[챌린지] 2주 차 회고회고설계 / 구현 동료분들과 얘기를 나눠보니, 설계를 진행하지 않고 바로 구현을 시작하시는 분이 많았다. 그래서 그렇게 해보았는데, 뭔가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시작하는 게 아니다 보니, 오류도 많이 발생하고 갈아엎기도 많이 갈아엎었다. 다음 주에는 설계 단계를 어떤 함수가 필요한지, 어떤 데이터 구조가 필요한지까지 설계를 하고 구현을 해보도록 해야겠다. 학습 정리 이번에도 학습 정리를 완벽하게 끝내지 못했다. 아무래도 학습 저장소에 더 치중되어서 괜히 촉박하게 학습 정리를 하면, 내용이 의미 없는 것들로 작성되는 것 같다. 그냥 양을 채우는 것에 목적을 두게 되는 것 같아서 몰랐던 개념들만 작성을 해두고, 주말에 정말로 궁금했던 내용을 찾아서 깊게 공부해서 적어야겠다. 학습 정..
[챌린지] 1주 차 회고회고설계 / 구현 설계와 구현의 밸런스를 잡는 것이 너무 어려웠다. 어디까지 설계를 진행한 후 구현을 진행해야 하는지, 설계를 마치고 구현을 하면서 바뀐 설계를 과정으로 다 표현해야 하는지 감이 잡히질 않았다. 미션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시간을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을 매일매일 모색하였고, 매일 매일 다른 방식으로 진행했지만 아직 어떤 방식이 나와 맞는지 찾지 못했다. 학습 정리 구현을 하면서 생긴 호기심을 시작으로 해당 부분을 깊게 파고들어 정리하고 싶었지만, 마음먹은 대로 하지 않았던 게 아쉽다. 주말에 호기심으로 시작하여 더 깊게 공부한 내용을 업로드해야겠다. 피어세션 동료분의 코드를 보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 이런 경험이 없었어서 자세하게 이해하기는커녕, 한 분 한 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