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6」 신기술 용어 - (6.1) 신기술 용어

728x90

[정처기 실기] 6」 신기술 용어 - (6.1) 신기술 용어

「1」 소프트웨어 구축

「2」 데이터베이스 구축

「3」 운영체제

「4」 네트워크

「5정보보안

> 「6」 신기술 용어

 

> 1. 정보보안

1. 신기술 용어

SW 개발 동향

중앙 집중식 인프라, 클라우드 서비스

인터넷 기반 컴퓨팅, 타사 제공 업체가 호스팅하는 인프라 / 플랫폼 /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으로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

  - 서버 관리 부담 감소

  - 데이터 센터 활용

  - 서비스 운영 집중 가능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형태

  - 퍼블릭 클라우드 :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 이용

  - 프라이빗 클라우드 : 특정 기업 / 사용자 대상, 자원 / 데이터 기업 내부 저장(온프레미스 방식)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 프라이빗 클라우드 병행, 가상 서버 / 물리 서버 결합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 IaaS : 클라우드로 IT 인프라 자원 제공

  - PaaS :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제공

  - SaaS : 인터넷 상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이용

  - BaaS : 블록체인 기술 응용 서비스 개발 / 관리 지원

  - SecaaS : 클라우드 시스템 보안 서비스 제공

  - DaaS : 인터넷 연결 시 기업 내부망 접속 가능, 가상 데스크톱 제공

  - FaaS :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등록,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실행

도커(Docker) : 컨테이너 응용 프로그램 배포 자동화

하이퍼바이저(컴퓨팅 가상화 설루션) : 하나의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 동시 구동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x / SDE, Software-Defined Everything)

다양한 기술을 통칭, 컴퓨터 / 통신망 / 데이터 센터를 소프트웨어로 제어하여 가상화 / 지능화

비용 절감, 유연성, 상호 운용성 향상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의 종류

  - SDN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 SDS :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 SDC : 소프트웨어 정의 컴퓨팅

  - SDDC :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

 

양자 컴퓨터(Quantum Conputer)

양자 역학 효과를 이용하여 계산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속도

자료의 양은 큐비트로 측정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의 지적 능령을 인공적으로 구현, 학습 / 추론 / 지각 능력을 컴퓨터 과학으로 구현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

  - 기계 학습 : 데이터에서 규칙 자동 학습

  - 인공 신경망 : 인간 뉴런 구조 모방

  - 딥 러닝 : 인공 신경망 기반 머신러닝 알고리즘

인공지능 키워드

  - 사이킷런 : 구글 썸머 코드, 머신러닝 패키지

  - 텐서플로 : 구글 딥러닝 라이브러리

  - 파이토치 : Facebook 립러닝 라이브러리

  - 케라스 : 프랑스 엔지니어가 개발, 신경망 라이브러리

 

신속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No Code : 코드 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 코딩 지식 없이 사용 가능

Low-Code : 간단한 명령으로 시스템 구축, 기술 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활용 가능

 

클라이언트 측 웹 프레임워크

React : 페이스북 개발 오픈 소스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Vue.js : Evan You 개발, 고성능 SPA 구축에 사용

AngularJS : 구글 개발 오픈 소스 프런트엔드 웹 앱 프레임워크

Node.js :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플랫폼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 비동기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 기법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자원(Resource)을 이름(URI)으로 구분하여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방식, ROA(Resource Oriented Architecture) 기반

REST 구성요소

  - 자원(Resource) : 웹 자원, HTTP URI로 표현

  - 행위(Verb) :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로 표현

  - 내용(Representations) : HTTP 메시지 페이로드에 담김

REST API : REST 원리를 따르는 웹 서비스 통신 인터페이스

RESTful : REST 원리를 따르는 시스템

전송 데이터

  - JSON : '키-값' 쌍 형태, 경량 데이터 포맷

  - XML : 데이터 저장 / 전달 목적 마크업 언어, 사용자 정의 태그 가능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서비스를 유연하게 재사용하고 재조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기술을 통해 구현

SOA 구성요소

  - 서비스 브로커 : 서비스 저장 / 관리, 검색 엔진 제공

  - 서비스 제공자 : 서비스 제공 / 결과 제공

  - 서비스 소비자 : 서비스 사용

SOA 핵심 기술

  - 데이터 교환 : XML, 인터넷 데이터 교환 기술

  - 미들웨어 : ESB, 메시징을 통해 시스템 연결

  - 서비스 호출 : SOAP, XML 기반 분산 환경 정보 교환

  - 서비스 기록 : WSDL, Web Service 기능 / 사용법 기술

  - 서비스 등록 : UDDI, 인터넷상 Web Service 정보 등록 / 검색

 

시맨틱 웹(Semantic Web)

컴퓨터가 인터넷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도록 메타데이터를 추가

XML 기반 RDF / OWL / SWRL 언어 사용

 

온톨리지(Ontology)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지식 모델

정보 시스템에서 자원의 개념을 정의하고 검색 정확도를 높임

○ 구성 : 클래스, 인스턴스, 속성, 관계

 

기타 용어 정리

블록체인 : 분산 컴퓨팅 기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 거래 기록을 체인 구조로 연결하여 관리

비트코인 : 블록체인 기반 최초 암호 화폐

매시업 : 다양한 웹 기반 자원 / 서비스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 / 애플리케이션 제작

디지털 트윈 : 물리적 객체 / 시스템 / 프로세스의 디지털 복제본 제작

메타버스 : 가상세계에서 다양한 경험 / 상호작용 제공하는 디지털 환경, VR / AR / 소셜 미디어 포함

코드 커터족 : 케이블 TV 대신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하는 소비자

핀테크 : 금융 서비스에 첨단 기술 접목, 모바일 결제 / 블록체인 / 로보어드바이저 포함

포스퀘어 :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디지털 발자국 : 온라인 활동 기록

노모포비아 : 휴대전화 없으면 불안감 / 무력감 느끼는 현상

소셜 다이닝 : 관심사 비슷한 사람들 모여 식사하는 활동

디지털 포렌식 : 디지털 장치 데이터 분석 / 복구하여 범죄 수사 활용

위치기반 SNS : 사용자 위치 정보 기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디지털 프로슈머 :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콘텐츠 생산자 역할

크리슈머 : 제품 / 서비스에 창의적 아이디어 더해 새로운 가치 창출하는 소비자

인포러스트 : 정보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가진 사람

커넥티드 카 : 인터넷 연결 기능 갖춘 자동차

웨버홀리즘 : 인터넷 중독

○ 스택가드 : 스택이 붕괴 / 변조된 경우 오버플로우로 가정하여 프로그램 실행을 비정상적으로 중단

○ Docker : 컨테이너 기술을 자동화하여 응용 프로그램 배치 자동화

○ Cipher Container : JAVA에서 암호화 / 복호화 기능 제공하는 컨테이너

○ Scytale : 암호화 기법으로 문자열 위치 바꾸는 방법

○ One Seg : 일본 / 브라질에 상용 중인 디지털 TV 방송 기술

○ PaaS-Ta : 국내 IT 서비스 경쟁력 강화 목적 개발된 개방형 클라우드 인프라 제어

○ ASLR : 실행 시 스택 / 힙 / 라이브러리 주소를 랜덤화하여 주소 예측 어렵게 함

nmap : 서버에 열린 포트 정보를 스캐닝하여 보안취약점 찾는 도구

○ Tripwire : 크래커가 침입하여 백도어 만든 것과 설정 파일 변경 시 분석하는 도구

○ Digital twin : 물리적 사물을 가상화하여 실제 자산의 특성 정보를 구현

 

네트워크 / 데이터베이스 신기술 용어

네트워크 신기술 용어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 실세계와 가상세계의 사물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 제공

M2M : 다양한 장치 간 정보 교환

저전력 블루투스(BLE) : 2.4 GHz 주파수, 저전력 /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 기술, 시계 / 장난감 / 비컨 / 웨어러블 사용

근접 무선 통신(NFC) : 수 cm 거리에서 P2P 통신 지원하는 RFID 기술

지그비 : 저속, 저비용, 저전력 무선망 기술

지능형 초연결망 : 네트워크 전체에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적용한 차세대 국가망 기술

애드 혹 네트워크 : 기반 구조 없이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메시 네트워크 : 대규모 디바이스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된 기술

이동 컴퓨팅 : 휴대형 기기를 이용해 이동 중에도 네트워크 접속 / 업무 처리

지능형 전력망 : IT 기술 통합하여 전력망 지능화 / 고품질 전력 서비스 제공

스마트 그리드 : 전기 / 정보통신기술 활용하여 전력망 지능화 / 에너지 이용 효율 극대화

와이-선 : 지능형 유틸리티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통신 기술

데이터 중심 네트워크 : 콘텐츠 자체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피코넷 : 블루투스나 UWB 기술 사용하여 여러 독립된 통신 장치가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초 광대역 기술 : 낮은 전력으로 초고속 통신 실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자동 구성 네트워크(SON) : 주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지리 정보 시스템(GIS) : 지도에 관한 속성 정보를 컴퓨터 이용해 해석하는 시스템

USN :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는 네트워크

무선 사설망(WPAN) : 무선을 이용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파장 분할 다중화기 : 하나의 광섬유 채널을 빛의 파장에 의해 분할하여 복수의 통신로 사용

가상 사설 통신망(VPN) : 인터넷상에 사설망 구축하여 보안 설루션 제공

MQTT : TCP /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발행-구독 기반 메시징 프로토콜

엔-스크린 : 동일한 콘텐츠를 여러 이종 단말기에서 자유롭게 이용

가상랜(VLan) : 물리적 위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 구성

IMS : ALL IP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유무선 통신 플랫폼 환경

 

데이터베이스 신기술 용어

빅데이터 : 대량의 데이터, 기존 도구로 처리 불가, 규모(Volume) / 다양성(Variety) / 속도(Velocity) / 정확성(Veracity) / 가치(Value)

정형 데이터(Structured Data) : 미리 정해진 형식과 구조에 따라 저장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 : 정의된 구조가 없는 데이터

메타 데이터(Meta Data) :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다른 데이터를 설명

데이터 웨어하우스 : 기간 시스템 데이터를 공통 형식으로 변환하여 관리

데이터 마트 :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특정 사용자 관심 데이터

데이터 마이닝 : 대규모 데이터에서 체계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 찾아내기

텍스트 마이닝 :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패턴이나 관계 추출하여 의미 있는 정보 찾아내기

하둡 : 대용량 데이터 효율적 저장 / 처리 프레임워크

Sqoop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Hadoop 사이 데이터 전송 도구

맵리듀스 : 대용량 데이터 병렬 처리 프레임워크

타조 : 하둡 기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R : 대규모 데이터 통계적 방법 분석 언어 / 환경

OLAP :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 검색, 분석

NoSQL : 관계형 DBMS 외 특성 지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소프트웨어 공학 관련 용어

브룩스의 법칙 : 지연된 프로젝트에 인력 추가는 오히려 개발 속도를 늦춤

파레토 법칙 : 20% 모듈에서 80% 결함 발생

롱테일 법칙 : 80% 다수가 소수 핵심보다 가치 창출

Boehm의 법칙 : 초기 단계에서 결함 발견 / 수정은 비용 절감

무어 법칙 : 반도체 성능 18 ~ 24개월마다 2배 증가

DRY 원칙(Don't Repeat Yourself) : 중복 최소화, 단일 정보 출처 유지

YAGNI 원칙(You Aren't Gonna Need It) : 현재 불필요한 기능은 구현하지 않음 

 

 

 

 

 

 

 

출처 | 흥달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