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프로그래밍 문제 이론 - JAVA, Python

728x90

[정처기 실기] 프로그래밍 문제 이론 -  JAVA, Python

1 C언어

> 2 JAVA

> 3 Python

2. JAVA

JAVA 값

참 값 : true로 표현

거짓 값 : false로 표현

 

상속 - 생성자

자식 생성자 안에서 부모 생성자를 호출하면, 해당 부모 생성자를 실행

자식 생성자 안에서 부모 생성자를 호출하지 않으면, 부모 생성자 중 인자 없는 디폴트 생성자를 실행

ex. 부모 생성자 A( ), A(1), A(1, 2)가 있고, 자식 생성자 안에서 super(1)로 부모 생성자를 호출하면 A(1) 호출, super( )가 없어 부모 생성자를 호출하지 않으면 디폴트 생성자인 A( ) 호출

 

오버라이딩, 하이딩

오버라이딩과 하이딩은 부모의 메서드를 재정의 한 것은 동일하나, 하이딩은 앞에 static이 붙은 형태

ex. 오버라이딩 : class Parent { public viod display( ) { ooo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public void display( ) { xxx } }

ex. 하이딩 : class Parent { static viod display( ) { ooo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static void display( ) { xxx } }

 

오버라이딩은 생성자를 기준으로 생성자에 있는 메서드를 출력

ex. Parent c = new Child( )이고 c.display( )를 호출하면, Child( )에 있는 메서드 display( ) { xxx } 출력

 

하이딩은 구조를 기준으로 구조에 있는 메서드를 출력

ex. Parent c = new Child( )이고 c.display( )를 호출하면, Parent( )에 있는 메서드 display( ) { ooo } 출력

 

오버라이딩과 하이딩은 자신의 클래스에서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신의 부모에 해당 메서드가 존재한다면 그 메서드를 상속받아 호출하고, 자신의 부모에 해당 메서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변수의 유효범위

하이딩과 같이 구조를 기준으로 구조에 있는 변수의 값을 참조

ex. class Parent { String name = "Parent"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String name = "Child" } 일 때,

Parent in = new Child( ) : in은 Parent의 name과 Child의 name값을 둘 다 가지지만, in.name은 Parent의 name을 참조

Parent in = new Parent( ) : in은 Parent의 name만 가지고, in.name은 Parent의 name을 참조

Child in = new Child( ) : in은 Parent의 name과 Child의 name값을 둘 다 가지고, in.name은 Child의 name을 참조

 

객체 비교

equals( ) : 객체의 내용이 같은지 비교

== :  new로 생성한 객체는 주소값을 비교, new로 생성하지 않은 객체는 내용을 비교

 

static 변수

static 변수는 하나로 공유하여 사용된다.

3. Python

Python 값

참 값 : True로 표현

거짓 값 : False로 표현

 

elif : else if

 

// : 나누기 후 정수값만 받음

 

print(a) : println(a)와 같음

print(a, end='') : 옆으로 이어서 출력

print(a, end='^') : 출력 후 뒤에 ^붙임

 

list

append(a) : a값 추가

insert(a, b) : a인덱스에 b값 삽입

del list명[a] : a인덱스 삭제

 

[초기위치 : 마지막위치 : 증감]

string[초기위치 : 마지막위치 : 증감] : 초기위치부터 마지막위치 전까지 증감

ex. a[:7:2] : 0번째부터, 7번째 전까지, 2씩 증가한 위치

ex. a[-3:] : 뒤에서 3번째부터, 끝까지

ex. a[1::3] : 1번째부터, 끝까지, 3씩 증가한 위치

ex. a[-2:-4:-1] : 뒤에서 2번째부터, 뒤에서 4번째 전까지, -1씩 증가한 위치(초기위치부터 출력해야하므로)

 

Set

{ } 사용, 중복 X, 정렬 X

add : 추가

remove : 삭제(없으면 오류 발생)

discard : 삭제(없어도 오류 발생 X)

update : 추가

 

Tuple

( ) 사용, 순서 O, 중복 O, 요소 변경 불가

 

Dict

{'Key' = Value}

del : 삭제

 

global 변수

global 변수를 사용해야 전역변수 값을 변경, 사용할 수 있음

 

 

 

 

 

728x90